[Android] RecyclerView

ListView는 getView()를 호출하여 list를 뿌리게 되는데 화면 스크롤시 getView()함수가 계속해서 호출되게 되어 inflate를 통해서 view가 생성되며 동시에 findByViewId가 계속해서 호출되게 된다. 그러면 리스트를 생성하는데 있어 메모리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RecyclerView는 ViewHolder(findByViewId를 한 번만 호출) 패턴을 강제하여 사용자의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데 충분한 수의 ViewHolder가 생성되면 RecyclerView는 기존의 ViewHolder를 재활용해 시간과 메모리를 절약한다.
자세히 보기

[Android] Fragment와 FragmentManager

하나 이상의 프래그먼트(fragment) 로 앱의 UI를 관리하면 유연성이 좋아진다. 프래그먼트는 액티비티의 작업 수행을 대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 객체다. 여기서 작업이란 UI 관리를 말하며, UI는 화면 전체 또는 일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액티비티는 이런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액티비티의 뷰들은 런타임 시에 변경되며, 이 뷰들을 제어하는 코드는 액티비티 내부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액티비티는 사용하는 특정 화면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자세히 보기

[Android] Do not concatenate text displayed with setText

TextView의 내용을 setText() 메서드를 이용해 설정할 때 Do not concatenate text displayed with setText. Use resource string with placeholders.라는 경고문을 자주 볼 수 있다. 대략 setText로 표시된 텍스트를 + 로 연결해서 사용하지 말고 리소스 문자열을 placeholder와 함께 사용하라는 내용인데, 문자열 서식 지정을 이용하여 getString(int, Object...)의 값을 setText()에 넣어주면 된다.
자세히 보기

[Android] Intent: 액티비티 간 데이터 전달

인텐트(intent)는 컴포넌트가 운영체제와 통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객체다. 지금까지 보았던 컴포넌트는 액티비티뿐이지만, 컴포넌트에는 서비스, 브로드캐스트 수신자, 콘텐츠 제공자도 있다. 인텐트는 다목적 통신 도구로, 이것을 추상화한 Intent 클래스는 인텐트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생성자들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시작시킬 액티비티를 ActivityManager에 알려주려고 인텐트를 사용한다.
자세히 보기

[Kotlin] Data Class

어떤 클래스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면 toString, equals, hashCode를 반드시 오버라이드해야 한다. IntelliJ 같은 IDE는 이러한 메소드들을 자동으로 정의해주고, 작성된 메소드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검사해준다. 하지만 코틀린은 더 편리하다! 이제는 이런 메소드를 IDE를 통해 생성할 필요도 없이 data라는 변경자를 클래스 앞에 붙이면 필요한 메소드를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data 변경자가 붙은 클래스를 데이터 클래스라고 부른다.
자세히 보기

[Android] ViewModel과 SIS

ViewModel은 특정 액티비티 화면과 연동되며, 해당 화면에 보여줄 데이터를 형식화하는 로직을 두기 좋은 곳이다. ViewModel은 모델 객체와 연동되어 모델을 '장식한다'. 즉, 모델 데이터를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을 ViewModel이 수행한다. ViewModel을 사용하면 화면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한곳에서 종합하고 데이터를 형식화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